|

이더리움네임서비스(ENS)란? 웹3 도메인 핵심 개념 정리

이더리움네임서비스(ENS)는 복잡한 블록체인 주소를 쉬운 이름으로 바꿔주는 웹3 도메인 시스템으로, 탈중앙화된 디지털 신원 관리와 자산 소유권을 혁신하는 블록체인 인프라다.

복잡한 이더리움 지갑 주소 대신 ‘hongildong.eth’처럼 간단한 이름을 사용할 수 있다면 어떨까? 웹3 시대의 새로운 인터넷 주소 체계인 이더리움네임서비스(Ethereum Name Service, ENS)가 바로 그런 편의성을 제공하며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중요한 인프라로 자리잡고 있다.


이더리움네임서비스(ENS)란?

이더리움네임서비스는 이더리움 블록체인 기반의 탈중앙화 오픈소스 네이밍 시스템이다. 2017년 닉 존슨(Nick Johnson)이 개발한 이 시스템은 ‘0x3bsfjbk234basf8iwerb….’와 같은 복잡한 이더리움 주소를 ‘myname.eth’처럼 사람이 읽고 기억하기 쉬운 형태로 변환해준다.

기존 인터넷의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이 IP 주소를 웹사이트 도메인으로 변환해주는 것과 유사한 원리다. 그러나 ENS는 중앙화된 서버 대신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작동하며, 이더리움 주소뿐 아니라 다른 암호화폐 지갑, 콘텐츠 해시, 메타데이터 등 다양한 정보를 연결할 수 있다.

현재 ENS는 탈중앙화 자율조직(DAO)에 의해 운영되며, ENS 토큰 보유자들이 거버넌스에 참여하여 프로토콜의 발전 방향을 결정한다.


ENS의 작동 원리

ENS 시스템은 크게 두 가지 주요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1. ENS 레지스트리: 모든 도메인 이름의 소유자, 리졸버, TTL(Time-to-Live) 정보를 저장하는 스마트 계약이다. 이를 통해 도메인 소유권과 관리가 가능하다.
  1. 리졸버(Resolver): 특정 ENS 이름이 어떤 데이터(주소, 콘텐츠 등)를 가리키는지 알려주는 스마트 계약이다. 사용자가 ‘alice.eth’로 이더를 보내면, 리졸버가 해당 이름에 연결된 실제 이더리움 주소를 찾아준다.

ENS는 스마트 계약을 통해 자동화된 방식으로 작동하며, 이더리움 블록체인의 보안과 투명성을 그대로 상속받는다. 이로 인해 중앙화된 시스템보다 검열 저항성이 강하고 사용자가 도메인을 완전히 소유할 수 있다.


기존 DNS와 ENS의 차이점

구분기존 DNSENS
관리 주체ICANN, 중앙기관탈중앙화 네트워크(ENS DAO)
등록 방식연간 등록, 중앙 서버스마트 컨트랙트로 등록
소유권임대 개념(취소 가능)블록체인 기반 소유(NFT)
예시naver.comwallet.eth

ENS는 DNS보다 검열 저항성과 보안성이 뛰어나며, 사용자가 도메인을 디지털 자산 형태로 완전히 소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마트 계약을 통해 자동화된 방식으로 작동하므로 중개자 없이 도메인을 관리할 수 있다.


ENS 등록 방법과 활용

ENS 도메인을 등록하는 과정은 비교적 간단하다:

  1. ENS 공식 웹사이트(app.ens.domains)에 접속
  2. 메타마스크 등 이더리움 지갑 연결
  3. 원하는 도메인 검색 및 등록 가능 여부 확인
  4. 가스비(네트워크 수수료) 결제 후 등록 완료

등록된 ENS 도메인은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다:

  • 암호화폐 송금: 복잡한 주소 대신 ENS 이름으로 간편하게 자산 주고받기
  • 디지털 신원: 웹3 환경에서의 통합 사용자 이름(SNS, 디앱 등에서 일관된 ID)
  • 웹사이트 연결: IPFS와 연동해 탈중앙화된 웹사이트 호스팅
  • 디지털 자산: ENS 도메인 자체가 NFT로 거래 가능
  • 프로필 설정: 이메일, 아바타, 소셜 미디어 링크 등 프로필 정보 저장

실제 사례로는 이더리움 창시자 비탈릭 부테린의 ‘vitalik.eth’, 기업으로는 ‘nike.eth’ 등이 등록되어 활용되고 있다.


ENS의 현재와 미래

현재 ENS는 웹3 생태계에서 중요한 인프라로 자리잡고 있다. 최신 데이터에 따르면 ENS 도메인 등록 건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지갑, 디앱, 거래소 등과의 통합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ENS의 발전을 위한 여러 기술적 업데이트가 진행 중이다:

  1. 네임체인(Namechain): 레이어2 롤업 네트워크로, 더 저렴한 비용과 빠른 속도로 ENS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1. ENSv2: 이더리움 메인넷에서 레이어2로 핵심 기능 일부를 마이그레이션하는 업그레이드가 진행 중이다.
  1. ZK 검증: 제로지식증명(Zero-Knowledge Proof) 기술을 활용해 검증된 자격증명과 소셜미디어 기록을 ENS에 연동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앞으로 ENS는 단순한 주소 변환 서비스를 넘어 웹3 상의 디지털 신원, 자산 관리, 콘텐츠 접근 등 더 넓은 영역으로 활용 범위를 확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마무리

이더리움네임서비스(ENS)는 단순히 도메인이 아니라 블록체인 상의 ‘나’를 표현하는 새로운 방식이다. 복잡한 블록체인 주소를 친숙한 이름으로 바꿔주는 것에서 시작해, 지갑, NFT, 소셜 ID까지 연결되는 웹3 정체성의 출발점이 되고 있다.

블록체인 기술이 대중화되기 위한 가장 큰 과제 중 하나는 사용자 경험 개선이다. ENS는 이러한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웹3 생태계가 확장될수록 그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이다.

탈중앙화된 인터넷의 미래에서 ENS는 단순한 주소체계를 넘어 디지털 신원의 기반으로 자리잡을 것이며, 이는 우리가 온라인에서 자신을 표현하고 상호작용하는 방식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Similar Posts